윔블던 2025의 초반 라운드는 충격과 반전을 연출하고 있습니다. 제시카 페굴라(3위)와 코코 가우프(2위)의 1회전 탈락에 이어 사발렌카(1위)와 시비옹테크(8위) 등 상위 시드 경로도 더욱 흥미롭게 바뀌고 있습니다. 이제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
🌟 상위 시드 최신 흐름
1. 아리나 사발렌카 (1위)
- 1R: vs 카슨 브랜스틴 (Q) — 6-1, 7-5로 무난히 승리
- 8강 예상 상대: 매디슨 키스(6위)
2. 코코 가우프 (2위) – 1R 탈락
- 상대: 다야나 야스트렘스카 (42위)
- 결과: 7-6(3), 6-1로 완패
- 야스트렘스카는 가우프의 서브 불안(더블폴트, 세컨드 서브 비율)을 효과적으로 공략했습니다.
3. 제시카 페굴라 (3위) – 1R 탈락
- 상대: 엘리자베타 코치아레토 (116위)
- 결과: 2-6, 3-6로 완패 — 역대급 이변
4. 자스민 파올리니 (4위)
- 1R: vs 아나스타시야 세바스토바 — 승리
- 상위 시드 구간 열림
5. 젱 친원 (5위)
- 1R: vs 카테리나 시니아코바 — 승리
6. 매디슨 키스 (6위)
- 1R: vs 엘레나-가브리엘라 루세 — 접전 끝에 역전승 6-7(4), 7-5, 7-5
7. 미라 안드레예바 (7위)
- 1R: vs 마야르 셰리프 — 6-3, 6-3으로 승리하며 가장 어린 여성 선수로 두각
8. 이가 시비옹테크 (8위)
- 1R: vs 폴리나 쿠더메토바 — 깔끔한 승리
🔥 이변 주역 집중 조명
Dayana Yastremska (우크라이나, 42위)
- 가우프 꺾었다 : 7-6(3), 6-1 대승
- 가우프의 서브 불안과 경기 리듬 파악으로 초대형 이변을 연출.
- 국적: 우크라이나
- 생년월일: 2000년 5월 15일 (만 25세)
- 신장/체중: 약 175cm / 63kg
- 주무기: 강력한 포핸드, 공격적인 베이스라인 플레이
- 주요 성적: WTA 단식 우승 3회, 2024 US오픈 16강
- 랭킹(2025 윔블던 전): WTA 단식 세계 42위
- 특징: 다혈질이지만 순간 집중력이 뛰어나며, 특히 잔디코트에서 빠른 템포 플레이가 강점. 이번 윔블던에서 예선부터 시작해 1라운드에서 2번 시드 코코 가우프를 스트레이트로 꺾으며 대형 이변의 주인공이 됨.
Elisabetta Cocciaretto (이탈리아, 116위)
- 페굴라 탈락시킴 : 6-2, 6-3의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깜짝 돌풍.
- 국적: 이탈리아
- 생년월일: 2001년 1월 25일 (만 24세)
- 신장/체중: 약 166cm / 60kg
- 플레이 스타일: 두터운 스트로크 기반의 안정된 플레이, 좌우 코트 폭 활용이 능숙
- 주요 성적: 2023 호주오픈 3회전, 잔디 및 클레이 모두에서 꾸준한 성적
- 랭킹(2025 윔블던 전): 세계 116위
- 특징: 체격은 작지만 끈기 있고 실수율이 낮으며, 이번 대회에서 3번 시드 제시카 페굴라를 압도하며 주목받는 복병으로 떠오름.
🎯 다음 라운드 주목 구간
- 사발렌카 구역: 안정적인 방향, 키스와의 8강 기대 대진.
- 가우프 섹션: 야스트렘스카 돌풍 → 새로운 판 짜여짐.
- 페굴라 구간: 코치아레토 등장 → 파올리니, 젱 개인에게 기회.
- 안드레예바 구역: 10대의 강세 유지, 파올리니와 맞붙을 가능성 큼.
📝 결론
윔블던 2025의 초반 라운드는 시드 체계에 균열을 냈습니다.
- 가우프와 페굴라의 조기 탈락은 반전에 가까운 충격
- 야스트렘스카와 코치아레토 같은 저평가 선수들의 대약진
- 다른 시드 역시 예상 불가능한 전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
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?
야스트렘스카의 돌풍은 어디까지 이어질까요? 페굴라의 구간 주도권은 누가 가질까요? 댓글로 의견 나눠 주세요!
HUGE upset | Dayana Yastremska vs Coco Gauff | Highlights | Wimbledon 2025
https://youtu.be/dG9Dep03Hxc?si=NMlhidejr2QqxAH9